2010년 동계 올림픽 스키점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0년 동계 올림픽 스키 점프는 2010년 2월 12일부터 22일까지 캐나다 밴쿠버에서 열린 대회로, 노멀힐 개인, 라지힐 개인, 라지힐 단체 세 종목으로 진행되었다. 스위스의 지몬 아만이 노멀힐과 라지힐 개인전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2관왕을 차지했고, 오스트리아는 라지힐 단체전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총 18개국에서 70명의 선수가 참가했으며, 국가별 출전 쿼터는 세계 랭킹과 월드컵, 컨티넨탈컵 순위를 기준으로 배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0년 동계 올림픽 스키점프 - 2010년 동계 올림픽 스키 점프 라지힐 단체전
2010년 동계 올림픽 스키 점프 라지힐 단체전은 휘슬러 올림픽 공원에서 열려 오스트리아가 금메달, 독일이 은메달, 노르웨이가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각 팀은 4명의 선수로 구성되어 두 번의 점프를 통해 순위를 결정하고 1차 시기에서 상위 8개 팀이 결승 라운드에 진출했다. - 2010년 동계 올림픽 스키점프 - 2010년 동계 올림픽 스키 점프 라지힐 개인전
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 스키 점프 라지힐 개인전은 휘슬러 올림픽 공원에서 열려 시몬 암만이 금메달, 아담 말리쉬가 은메달, 그레고어 슐리렌차우어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 올림픽 스키점프 - 1936년 동계 올림픽 스키점프
1936년 동계 올림픽 스키 점프는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에서 열려 비르거 루드가 금메달, 스벤 에릭손이 은메달, 레이다르 안데르센이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안전 및 판정 논란에도 불구하고 기술 혁신과 인기 확산에 기여했다. - 올림픽 스키점프 - 2018년 동계 올림픽 스키점프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스키 점프는 알펜시아 스키점프 경기장에서 남자 노멀힐, 남자 라지힐, 남자 단체 라지힐, 여자 노멀힐 총 4개의 세부 종목으로 진행되었고, 독일, 노르웨이, 폴란드가 메달 순위 상위를 차지했으며, 21개국에서 100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2010년 동계 올림픽 스키점프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 스키 점프 | |
종목 | 스키 점프 |
![]() | |
대회 | 2010년 동계 올림픽 |
개최지 | 휘슬러 |
경기장 | 휘슬러 올림픽 공원 |
기간 | 2월 12일 ~ 2월 22일 |
참가 선수 | 68명 |
참가국 | 18개국 |
이전 대회 | 2006 |
다음 대회 | 2014 |
세부 종목 | |
남자 노멀힐 개인전 | 남자 |
남자 라지힐 개인전 | 남자 |
남자 라지힐 단체전 | 남자 |
2. 경기 일정
모든 시간은 태평양 표준시(UTC-8) 기준이다. 일본과 밴쿠버의 시차는 17시간이다.
대회 날짜 | 시간 | 경기 시작 | 경기 종료 | 종목 | 라운드 | |
---|---|---|---|---|---|---|
제1일 | 2010년 2월 12일 | 10:00 | 11:05 | 노멀힐 개인 | 예선 | |
제2일 | 2010년 2월 13일 | 9:45 | 11:25 | 노멀힐 개인 | 결승 | |
제8일 | 2010년 2월 19일 | 10:00 | 11:05 | 라지힐 개인 | 예선 | |
제9일 | 2010년 2월 20일 | 11:30 | 13:10 | 라지힐 개인 | 결승 | |
제11일 | 2010년 2월 22일 | 10:00 | 11:55 | 라지힐 단체 | 예선·결승 |
2. 1. 경기 세부 일정
모든 시간은 태평양 표준시(UTC-8) 기준이다. 일본과 밴쿠버의 시차는 17시간이다.대회 날짜 | 시간 | 경기 시작 | 경기 종료 | 종목 | 라운드 | |
---|---|---|---|---|---|---|
제1일 | 2010년 2월 12일 금요일 | 10:00 | 11:05 | 노멀힐 개인 | 예선 | |
제2일 | 2010년 2월 13일 토요일 | 9:45 | 11:25 | 노멀힐 개인 | 결승 | |
제8일 | 2010년 2월 19일 금요일 | 10:00 | 11:05 | 라지힐 개인 | 예선 | |
제9일 | 2010년 2월 20일 토요일 | 11:30 | 13:10 | 라지힐 개인 | 결승 | |
제11일 | 2010년 2월 22일 월요일 | 10:00 | 11:55 | 라지힐 단체 | 예선·결승 |
오카베 타카노부는 대표로 선출되었지만, 출전 기회가 없었다.
3. 경기 결과
순위 국가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 총 메달 1 2 0 0 2 2 1 0 2 3 3 0 2 0 2 4 0 1 0 1 5 0 0 1 1
2010년 동계 올림픽 스키 점프 노멀힐 개인전에서 지몬 아만이 금메달을, 아담 마위시가 은메달, 그레고어 슐리렌차워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라지힐 개인전에서는 지몬 아만이 금메달, 아담 마위시가 은메달, 그레고어 슐리렌차워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라지힐 단체전에서는 볼프강 로이츨, 안드레아스 코플러, 토마스 모르겐슈테른, 그레고어 슐리렌차워로 구성된 오스트리아팀이 금메달을, 미하엘 노이마이어, 안드레아스 방크, 마르틴 슈미트, 미하엘 우어만으로 구성된 독일팀이 은메달을, 아네르스 바르달, 톰 힐레, 요한 레멘 에벤센, 아네르스 야콥센으로 구성된 노르웨이팀이 동메달을 획득했다.종목 금 은 동 노멀힐 개인전 지몬 아만/지몬 아만de (스위스) 아담 마위시/아담 마위시pl (폴란드) 그레고어 슐리렌차워/그레고어 슐리렌차워de (오스트리아) 라지힐 개인전 지몬 아만/지몬 아만de (스위스) 아담 마위시/아담 마위시pl (폴란드) 그레고어 슐리렌차워/그레고어 슐리렌차워de (오스트리아) 라지힐 단체전
볼프강 로이츨
안드레아스 코플러
토마스 모르겐슈테른
그레고어 슐리렌차워
미하엘 노이마이어
안드레아스 방크
마르틴 슈미트
미하엘 우어만
아네르스 바르달
톰 힐레
요한 레멘 에벤센
아네르스 야콥센
2010년 동계 올림픽 스키 점프 노멀힐 개인전은 2월 13일에 열렸다. 경기는 K점 95m, 힐 사이즈 106m 규격의 코스에서 진행되었다.
스키 점프 월드컵 종합 1위를 달리고 있던 스위스의 시몬 아만이 1, 2차 시기 모두 최장 거리를 기록하며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시몬 아만은 2002년 동계 올림픽 이후 2개 대회 만에 3번째 금메달을 획득했다. 2위는 폴란드의 아담 마위시가 차지했고, 3위는 오스트리아의 그레고어 슐리렌차워에게 돌아갔다.순위 국가 선수 1차 시기 2차 시기 점수 점수 비거리 점수 비거리 1 시몬 아만 135.5 105.0m 141.0 108.0m 276.5 2 아담 마위시 132.5 103.5m 137.0 105.0m 269.5 3 그레고어 슐리렌차워 128.0 101.5m 140.0 106.5m 268.0 4 얀네 아호넨 129.5 102.0m 133.5 104.0m 263.0 5 미하엘 우르만 133.0 103.5m 129.5 102.0m 262.5 6 로베르토 크라니예츠 129.0 102.0m 130.5 102.5m 259.5 7 페테르 프레브츠 124.0 100.0m 135.0 104.5m 259.0 8 토마스 모르겐슈테른 130.0 102.0m 128.5 101.5m 258.5 9 안데르스 야콥센 123.5 99.5m 133.5 104.0m 257.0 10 마르틴 슈미트 123.0 99.5m 133.0 103.5m 256.0 15 이토 다이키 125.0 100.5m 124.5 100.0m 249.5 17 가사이 노리아키 120.5 99.0m 124.0 100.5m 244.5 34 다케우치 타쿠 110.5 94.5m 2차 시기 진출 실패 110.5 37 토치모토 쇼헤이 108.5 93.5m 2차 시기 진출 실패 108.5
2010년 동계 올림픽 스키점프 라지힐 개인전은 2010년 2월 20일에 열렸다. 경기는 휘슬러 올림픽 공원에서 진행되었으며, 코스 조건은 K-125, 힐 사이즈 140m였다.
시몬 아만(SUI)은 1차 시기에서 144.0m, 2차 시기에서 138.0m를 기록하여 총점 283.6점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아담 마위시(POL)는 1차 시기 137.0m, 2차 시기 133.5m로 총점 269.4점을 기록하며 은메달을 차지했고, 그레고어 슐리렌차워(AUT)는 1차 시기 130.5m, 2차 시기 136.0m, 총점 262.2점으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시몬 아만은 노멀힐 개인전에 이어 라지힐 개인전에서도 우승하며 올림픽 2관왕에 올랐다. 이는 스키점프 역사상 최다 금메달 기록(총 4개)이다.순위 국가 선수 1차 시기 2차 시기 점수 점수 비거리 점수 비거리 1 시몬 아만 144.7 144.0m 138.9 138.0m 283.6 2 아담 마위시 138.1 137.0m 131.3 133.5m 269.4 3 그레고어 슐리렌차워 125.4 130.5m 136.8 136.0m 262.2 4 안드레아스 코플러 127.2 131.5m 134.0 135.0m 261.2 5 토마스 모르겐슈테른 123.6 129.5m 123.1 129.5m 246.7 6 미하엘 노이마이어 122.5 130.0m 123.0 130.0m 245.5 7 안토닌 하이에크 119.4 128.0m 121.2 129.0m 240.6 8 가사이 노리아키 105.7 121.5m 133.5 135.0m 239.2 9 로베르토 크라니예츠 99.3 118.5m 134.4 135.5m 233.7 10 볼프강 로이츨 124.1 129.5m 106.2 121.5m 230.3 20 이토 다이키 95.6 117.0m 121.3 128.5m 216.9 37 다케우치 다쿠 83.9 110.5m 2차 시기 진출 실패 83.9 45 도치모토 쇼헤이 73.4 105.5m 2차 시기 진출 실패 73.4
2010년 동계 올림픽 스키 점프 라지힐 단체전은 2010년 2월 22일에 휘슬러 올림픽 공원에서 열렸다. 경기는 K점 125m, 힐 사이즈 140m 코스에서 진행되었다. 1차 시기 상위 8개 팀만이 2차 시기에 진출할 수 있었다.
오스트리아는 볼프강 로이츨, 안드레아스 코플러, 토마스 모르겐슈테른, 그레고어 슐리렌차우어가 출전하여 1107.9점으로 압도적인 금메달을 획득했다. 독일은 미하엘 노이마이어, 안드레아스 방크, 마르틴 슈미트, 미하엘 우어만이 출전하여 1035.8점으로 은메달을, 노르웨이는 아네르스 바르달, 톰 힐레, 요한 레멘 에벤센, 아네르스 야콥센이 출전하여 1030.3점으로 동메달을 차지했다.
상세 결과는 다음과 같다.순위 국가/지역 선수 1차 시기 2차 시기 점수 점수 비거리 점수 비거리 1 볼프강 로이츨 140.4 138.0m 141.8 138.5m 1107.9 안드레아스 코플러 126.1 132.0m 138.6 142.0m 토마스 모르겐슈테른 135.9 135.5m 135.0 135.0m 그레고어 슐리렌차우어 144.9 140.5m 145.2 146.5m 2 미하엘 노이마이어 135.6 137.0m 134.7 136.5m 1035.8 안드레아스 방크 120.3 128.5m 141.7 139.0m 마르틴 슈미트 119.9 128.0m 106.6 122.0m 미하엘 우르만 133.5 135.0m 143.5 140.0m 3 안데르스 바데르 118.4 128.0m 117.1 127.0m 1030.3 톰 힐데 118.5 127.5m 141.7 139.0m 요한 레멘 에벤센 126.7 131.5m 122.1 129.5m 안데르스 야코브센 140.4 138.0m 145.4 140.5m 4 마티 하우타매키 129.8 133.5m 123.5 130.0m 1014.6 얀네 하포넨 120.3 128.5m 142.2 139.0m 칼레 케타리 108.4 123.0m 126.6 132.0m 하리 올리 131.7 134.0m 132.1 134.5m 5 이토 다이키 122.1 129.5m 130.8 133.5m 1007.7 다케우치 타쿠 113.4 125.5m 122.1 129.5m 토치모토 쇼헤이 118.4 128.0m 126.6 132.0m 가사 이노리아키 130.8 133.5m 143.5 140.0m 6 스테판 후알라 122.2 129.0m 118.5 127.5m 996.7 루카슈 루토코프스키 108.4 123.0m 118.5 127.5m 카밀 스토흐 116.2 126.5m 132.6 134.5m 아담 말리쉬 137.2 136.5m 143.1 139.5m 7 안토닌 하예크 121.2 129.0m 134.0 135.0m 981.8 로만 코우델카 124.3 131.0m 134.4 135.5m 루카슈 흘라바 112.5 125.0m 114.3 126.0m 야쿠프 얀다 119.4 128.0m 121.7 129.0m 8 프리모즈 피클 109.2 124.0m 102.1 119.5m 958.8 미트야 메즈나르 114.7 126.5m 124.3 131.0m 페테르 프레브츠 127.1 132.0m 118.0 127.5m 로베르트 크라니예츠 121.2 129.0m 142.2 139.0m
3. 1. 메달 집계
순위 | 국가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 gold; width:|wikitable sortable}}"|금메달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 silver; width:}|wikitable sortable}}"|은메달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 #c96; width:}|wikitable sortable}}"|동메달 !scope="col" style="width:}|wikitable sortable}};"|총 메달 |- | 1 ||align="left" | || 2 || 0 || 0 || 2 |- | 2 ||align="left" | || 1 || 0 || 2 || 3 |- | 3 ||align="left" | || 0 || 2 || 0 || 2 |- | 4 ||align="left" | || 0 || 1 || 0 || 1 |- | 5 ||align="left" | || 0 || 0 || 1 || 1 |} 2010년 동계 올림픽 스키 점프 노멀힐 개인전에서 지몬 아만이 금메달을, 아담 마위시가 은메달, 그레고어 슐리렌차워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라지힐 개인전에서는 지몬 아만이 금메달, 아담 마위시가 은메달, 그레고어 슐리렌차워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라지힐 단체전에서는 볼프강 로이츨, 안드레아스 코플러, 토마스 모르겐슈테른, 그레고어 슐리렌차워로 구성된 오스트리아팀이 금메달을, 미하엘 노이마이어, 안드레아스 방크, 마르틴 슈미트, 미하엘 우어만으로 구성된 독일팀이 은메달을, 아네르스 바르달, 톰 힐레, 요한 레멘 에벤센, 아네르스 야콥센으로 구성된 노르웨이팀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3. 2. 메달리스트볼프강 로이츨안드레아스 코플러 토마스 모르겐슈테른 그레고어 슐리렌차워 | 미하엘 노이마이어 안드레아스 방크 마르틴 슈미트 미하엘 우어만 | 아네르스 바르달 톰 힐레 요한 레멘 에벤센 아네르스 야콥센 |
---|
순위 | 국가 | 금 | 은 | 동 | 총 메달 |
---|---|---|---|---|---|
1 | 2 | 0 | 0 | 2 | |
2 | 1 | 0 | 2 | 3 | |
3 | 0 | 2 | 0 | 2 | |
4 | 0 | 1 | 0 | 1 | |
5 | 0 | 0 | 1 | 1 |
3. 3. 노멀힐 개인전 상세 결과
2010년 동계 올림픽 스키 점프 노멀힐 개인전은 2월 13일에 열렸다. 경기는 K점 95m, 힐 사이즈 106m 규격의 코스에서 진행되었다.스키 점프 월드컵 종합 1위를 달리고 있던 스위스의 시몬 아만이 1, 2차 시기 모두 최장 거리를 기록하며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시몬 아만은 2002년 동계 올림픽 이후 2개 대회 만에 3번째 금메달을 획득했다. 2위는 폴란드의 아담 마위시가 차지했고, 3위는 오스트리아의 그레고어 슐리렌차워에게 돌아갔다.
순위 | 국가 | 선수 | 1차 시기 | 2차 시기 | 점수 | ||
---|---|---|---|---|---|---|---|
점수 | 비거리 | 점수 | 비거리 | ||||
1 | 시몬 아만 | 135.5 | 105.0m | 141.0 | 108.0m | 276.5 | |
2 | 아담 마위시 | 132.5 | 103.5m | 137.0 | 105.0m | 269.5 | |
3 | 그레고어 슐리렌차워 | 128.0 | 101.5m | 140.0 | 106.5m | 268.0 | |
4 | 얀네 아호넨 | 129.5 | 102.0m | 133.5 | 104.0m | 263.0 | |
5 | 미하엘 우르만 | 133.0 | 103.5m | 129.5 | 102.0m | 262.5 | |
6 | 로베르토 크라니예츠 | 129.0 | 102.0m | 130.5 | 102.5m | 259.5 | |
7 | 페테르 프레브츠 | 124.0 | 100.0m | 135.0 | 104.5m | 259.0 | |
8 | 토마스 모르겐슈테른 | 130.0 | 102.0m | 128.5 | 101.5m | 258.5 | |
9 | 안데르스 야콥센 | 123.5 | 99.5m | 133.5 | 104.0m | 257.0 | |
10 | 마르틴 슈미트 | 123.0 | 99.5m | 133.0 | 103.5m | 256.0 | |
15 | 이토 다이키 | 125.0 | 100.5m | 124.5 | 100.0m | 249.5 | |
17 | 가사이 노리아키 | 120.5 | 99.0m | 124.0 | 100.5m | 244.5 | |
34 | 다케우치 타쿠 | 110.5 | 94.5m | 2차 시기 진출 실패 | 110.5 | ||
37 | 토치모토 쇼헤이 | 108.5 | 93.5m | 2차 시기 진출 실패 | 108.5 | ||
3. 4. 라지힐 개인전 상세 결과
2010년 동계 올림픽 스키점프 라지힐 개인전은 2010년 2월 20일에 열렸다. 경기는 휘슬러 올림픽 공원에서 진행되었으며, 코스 조건은 K-125, 힐 사이즈 140m였다.시몬 아만(SUI)은 1차 시기에서 144.0m, 2차 시기에서 138.0m를 기록하여 총점 283.6점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아담 마위시(POL)는 1차 시기 137.0m, 2차 시기 133.5m로 총점 269.4점을 기록하며 은메달을 차지했고, 그레고어 슐리렌차워(AUT)는 1차 시기 130.5m, 2차 시기 136.0m, 총점 262.2점으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시몬 아만은 노멀힐 개인전에 이어 라지힐 개인전에서도 우승하며 올림픽 2관왕에 올랐다. 이는 스키점프 역사상 최다 금메달 기록(총 4개)이다.
순위 | 국가 | 선수 | 1차 시기 | 2차 시기 | 점수 | ||
---|---|---|---|---|---|---|---|
점수 | 비거리 | 점수 | 비거리 | ||||
1 | 시몬 아만 | 144.7 | 144.0m | 138.9 | 138.0m | 283.6 | |
2 | 아담 마위시 | 138.1 | 137.0m | 131.3 | 133.5m | 269.4 | |
3 | 그레고어 슐리렌차워 | 125.4 | 130.5m | 136.8 | 136.0m | 262.2 | |
4 | 안드레아스 코플러 | 127.2 | 131.5m | 134.0 | 135.0m | 261.2 | |
5 | 토마스 모르겐슈테른 | 123.6 | 129.5m | 123.1 | 129.5m | 246.7 | |
6 | 미하엘 노이마이어 | 122.5 | 130.0m | 123.0 | 130.0m | 245.5 | |
7 | 안토닌 하이에크 | 119.4 | 128.0m | 121.2 | 129.0m | 240.6 | |
8 | 가사이 노리아키 | 105.7 | 121.5m | 133.5 | 135.0m | 239.2 | |
9 | 로베르토 크라니에츠 | 99.3 | 118.5m | 134.4 | 135.5m | 233.7 | |
10 | 볼프강 로이츨 | 124.1 | 129.5m | 106.2 | 121.5m | 230.3 | |
20 | 이토 다이키 | 95.6 | 117.0m | 121.3 | 128.5m | 216.9 | |
37 | 다케우치 다쿠 | 83.9 | 110.5m | 2차 시기 진출 실패 | 83.9 | ||
45 | 도치모토 쇼헤이 | 73.4 | 105.5m | 2차 시기 진출 실패 | 73.4 | ||
3. 5. 라지힐 단체전 상세 결과
2010년 동계 올림픽 스키 점프 라지힐 단체전은 2010년 2월 22일에 휘슬러 올림픽 공원에서 열렸다. 경기는 K점 125m, 힐 사이즈 140m 코스에서 진행되었다. 1차 시기 상위 8개 팀만이 2차 시기에 진출할 수 있었다.오스트리아는 볼프강 로이츨, 안드레아스 코플러, 토마스 모르겐슈테른, 그레고어 슐리렌차우어가 출전하여 1107.9점으로 압도적인 금메달을 획득했다. 독일은 미하엘 노이마이어, 안드레아스 방크, 마르틴 슈미트, 미하엘 우어만이 출전하여 1035.8점으로 은메달을, 노르웨이는 아네르스 바르달, 톰 힐레, 요한 레멘 에벤센, 아네르스 야콥센이 출전하여 1030.3점으로 동메달을 차지했다.
상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순위 | 국가/지역 | 선수 | 1차 시기 | 2차 시기 | 점수 | ||
---|---|---|---|---|---|---|---|
점수 | 비거리 | 점수 | 비거리 | ||||
1 | 볼프강 로이츨 | 140.4 | 138.0m | 141.8 | 138.5m | 1107.9 | |
안드레아스 코플러 | 126.1 | 132.0m | 138.6 | 142.0m | |||
토마스 모르겐슈테른 | 135.9 | 135.5m | 135.0 | 135.0m | |||
그레고어 슐리렌차우어 | 144.9 | 140.5m | 145.2 | 146.5m | |||
2 | 미하엘 노이마이어 | 135.6 | 137.0m | 134.7 | 136.5m | 1035.8 | |
안드레아스 방크 | 120.3 | 128.5m | 141.7 | 139.0m | |||
마르틴 슈미트 | 119.9 | 128.0m | 106.6 | 122.0m | |||
미하엘 우르만 | 133.5 | 135.0m | 143.5 | 140.0m | |||
3 | 안데르스 바데르 | 118.4 | 128.0m | 117.1 | 127.0m | 1030.3 | |
톰 힐데 | 118.5 | 127.5m | 141.7 | 139.0m | |||
요한 레멘 에벤센 | 126.7 | 131.5m | 122.1 | 129.5m | |||
안데르스 야코브센 | 140.4 | 138.0m | 145.4 | 140.5m | |||
4 | 마티 하우타매키 | 129.8 | 133.5m | 123.5 | 130.0m | 1014.6 | |
얀네 하포넨 | 120.3 | 128.5m | 142.2 | 139.0m | |||
칼레 케타리 | 108.4 | 123.0m | 126.6 | 132.0m | |||
하리 올리 | 131.7 | 134.0m | 132.1 | 134.5m | |||
5 | 이토 다이키 | 122.1 | 129.5m | 130.8 | 133.5m | 1007.7 | |
다케우치 타쿠 | 113.4 | 125.5m | 122.1 | 129.5m | |||
토치모토 쇼헤이 | 118.4 | 128.0m | 126.6 | 132.0m | |||
카사 이노리아키 | 130.8 | 133.5m | 143.5 | 140.0m | |||
6 | 스테판 후알라 | 122.2 | 129.0m | 118.5 | 127.5m | 996.7 | |
루카슈 루토코프스키 | 108.4 | 123.0m | 118.5 | 127.5m | |||
카밀 스토흐 | 116.2 | 126.5m | 132.6 | 134.5m | |||
아담 말리쉬 | 137.2 | 136.5m | 143.1 | 139.5m | |||
7 | 안토닌 하예크 | 121.2 | 129.0m | 134.0 | 135.0m | 981.8 | |
로만 코우델카 | 124.3 | 131.0m | 134.4 | 135.5m | |||
루카슈 흘라바 | 112.5 | 125.0m | 114.3 | 126.0m | |||
야쿠프 얀다 | 119.4 | 128.0m | 121.7 | 129.0m | |||
8 | 프리모즈 피클 | 109.2 | 124.0m | 102.1 | 119.5m | 958.8 | |
미트야 메즈나르 | 114.7 | 126.5m | 124.3 | 131.0m | |||
페테르 프레브츠 | 127.1 | 132.0m | 118.0 | 127.5m | |||
로베르트 크라니예츠 | 121.2 | 129.0m | 142.2 | 139.0m |
4. 참가국
2010년 동계 올림픽 스키점프에는 18개국에서 70명의 선수가 참가했다.[3][2] 한 국가당 최대 5명까지 출전할 수 있으며, 개인전에는 4명, 단체전에는 1팀이 출전 가능하다. 개최국인 캐나다는 모든 종목에 선수를 출전시킬 수 있으며, 예선을 통과하지 못한 경우에도 각 종목별로 1명의 선수를 출전시킬 수 있다.[3][2]
국가별 쿼터는 스키 점프 월드컵과 그랑프리 대회 점수로 구성된 세계 랭킹(WRL)과 2008-09, 09-10 월드컵과 대륙간 컵 대회 점수를 기준으로 배분되었다.[3][2] 대한민국에서는 최흥철, 최용직, 김현기가 출전하였다.[3]
참가국 및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5. 참가 자격
2010년 동계 올림픽 스키점프에는 세 종목에 걸쳐 최대 70명의 선수가 출전할 수 있으며, 한 국가당 최대 5명까지 출전 가능하다.[2] 개인전에는 한 국가당 최대 4명, 단체전에는 1개의 팀이 출전할 수 있다. 개최국인 캐나다는 자동 출전권이 부여되어 모든 종목에 선수를 출전시킬 수 있으며, 자격 기준을 충족하는 선수가 없는 경우에는 각 종목당 1명의 선수를 출전시킬 수 있다.[2]
국가별 출전 쿼터는 스키 점프 월드컵과 그랑프리 점수로 구성된 세계 랭킹 리스트(WRL)를 기반으로 배분되며, 2008-09 및 2009-10 스키 점프 월드컵의 컨티넨탈컵 순위도 고려된다.[2] 쿼터 배정은 2010년 1월 18일부터 1월 28일까지 진행되었으며, VANOC에 대한 마감일은 2010년 2월 1일이었다.[2] 12개 국가가 단체전에 참가할 수 있도록 쿼터가 조정되며, 남은 쿼터는 최대 70명의 선수가 출전할 때까지 할당된다.[2]
참조
[1]
웹사이트
Ski Jumping at the 2010 Vancouver Winter Games
https://web.archive.[...]
2019-09-01
[2]
간행물
FIS Quota list January 2010 (pending re-allocation)
http://www.fis-ski.c[...]
2010-01-25
[3]
웹인용
FIS 쿼터 리스트)
https://web.archive.[...]
2018-07-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